코로나 이후 최근 물가 상승이 심상치 않다. 물가 상승 때문에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과연 물가 상승이 우리 생활에 나쁘게 작용하는 것일까 생각을 해 보았다.

한가지 예를 생각해 보자. 2022년 물가 상승률이 5%였다면 2023년 일반 직장인 기준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 보통 연봉은 물가 상승률에 연동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나의 연봉도 5%가 올라간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직장인의 연봉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 중 생활비로 4000만원을 쓰고 1000만원은 저축을 한다면 5% 연봉 인상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 총 연봉은 5250만원이 되고, 생활비는 4200만원이 될 것이며 저축 금액은 1050만원이 된다. 즉, 돈은 더 모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다. 물론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를 순식간에 떨어뜨리기 때문에 나쁘다고 할 수 있지만 적당한 물가 상승은 위의 예처럼 일반인에게 결코 나쁘다고 할 수 없다. 그런데, 여기에는 두가지의 함정이 있다.

첫째, 물가 상승은 월별 지속되지만 나의 연봉은 1년에 한 번만 오른다는 것이다. 만약 년초 2월에에 물가상승이 5%이고 그 이후 안정적인 물가라면 어떻게 될까? 2022년에 5000만원의 연봉이었다면 생활비가 월 333만원 (4000/12)인데, 이것이 350만원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럼 월급은 416 (5000/12)인데, 총 생활비가 늘어남으로써 저축 금액은 줄어들고 이것이 1년간 지속된다는 점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월급은 안 오르는데 생활비만 늘어난다는 말이 바로 여기에 적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물가 상승률은 실제 물가 상승률을 100%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정부에서 발표하는 물가 상승률은 약 400여개의 품목에 대해 계산되는데, 이것들의 가격이 비탄력적이라는 것이다. 물가는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이 품목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기업이 가격을 함부로 상승시키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시장바구니 물가와 실제 물가 상승과의 갭이 발생하는 것이다. 왜 정부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고만 할까? 바로 근로자의 임금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통 근로자의 소비에 타격이 오지 않다록 정부가 물가 상승을 억제한다고 생각할런지 모르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자본주의에서의 정부는 기업의 편이다. 바로 근로자의 임금 상승을 막기 위해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이로써 기업은 더 많은 이윤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함이다.

근로자 입장에서 가장 이상적은 것은 연봉이 아닌, 월봉 아니면 최소 분기봉으로 지속적으로 임금을 올리는 것이 합당하며 정부는 시장 바구니 물가와 연동되는 제품들을 더 포함시켜 물가 상승률을 계산해야하지 않을까?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